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

존 밀턴이 1667년 발표한 '실락원' 존 밀턴이 1667년 발표한 '실락원' 존 밀턴이 1667년 발표한 서사시 은 구약성경 창세기에 기술되어 있는 인간이 타락하는 이야기를 상세히 그린 대작이다. 영어로 쓰인 가장 정교한 서사시로 서양 문학사에 기념비적 작품일 뿐만 아니라 종교 개혁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실낙원은 무운 시(운의 구속이 없어 산문에 가까운 서술적인 시)이다. 셰익스피어도 여러 작품에서 무운시 형식을 사용했지만, 밀턴은 무운 시의 가능성을 확대시키고 폭넓게 적용했다. 그뿐만 아니라 밀턴은 호메로스와 다른 고대 시인들이 서사시에 자주 사용했던 길고 복잡한 비유 양식인 서사시적 비유를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실낙원의 문이 열리자 사탄과 타락한 천사들이 신에 대항해 천국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전쟁에서 패한다. 신은 그 벌로 이들을 .. 2022. 11. 2.
음악의 기본 요소(음높이, 음계, 조) 음악의 기본 요소(음높이, 음계, 조) 음악 소리를 분석할 때 사용하는 기본 요소는 다음과 같다. 음높이(pitch) : 귀에 들리는 소리의 높낮이 정도를 말한다. 음높이는 실제로 음파의 주파수, 즉 파동이 반복되는 빈도로 측정한다. 서양음악에서는 도, 도샵, 또는 레플랫, 레, 레샵 또는 미플랫, 미, 파, 파샵 도는 솔플랫, 솔, 솔샵 또는 라플랫, 라, 라샵 또는 시플랫, 시 이렇게 12개의 고유 음높이가 있다 음계(scale) : 도-레-미-파-솔-라-시-도 처럼 음높이 차례로 음을 배열한 층계를 음계라 하며 대개 멜로디의 기본을 이룬다. 악곡의 전체 또는 일부는 특정 음계의 음을 사용하기도 한다 조(key) : 대개 장음계나 단음계 중 하나를 바탕으로 한 음배열 또는 음체계로서, 멜로디를 만드는.. 2022. 10.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