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

창세기 19장 '소돔과 고모라' 이야기 창세기 19장 '소돔과 고모라' 이야기 소돔과 고모라에 대한 이야기는 창세기 19장에 나온다. 소돔과 고모라는 요르단 강 계속에 위치한 도시였다. 이곳 주민들이 죄를 지었기 때문에 신은 두 도시를 파괴하려고 했다. 그러자 아브라함은 사악한 사람들 때문에 아무 죄도 없는 사람마저 죽어서는 안 된다며 항의했다. 신은 만일 10명의 위인을 찾아낸다면 파괴를 면해주겠다고 아브라함에게 약속하고 일단의 천사를 보내 실태를 파악하게 했다 지상에 도착한 천사들은 아브라람의 조카 롯을 발견했다. 롯은 천사들을 집으로 초대하고 식사를 준비했다. 이윽고 소돔 사람들이 롯의 집에 나타나서 '이 밤에 당신을 찾아온 남자들은 어디 있소? 누군지 보게 데려 오시오." (창세기 19장 5절)라고 했다. 롯은 시집 안간 자신의 딸을 .. 2022. 11. 6.
유럽 제국주의를 비판한 작품 '어둠의 심연' 유럽 제국주의를 비판한 작품 '어둠의 심연' 조지프 콘레드의 1899년 중편소설 어둠의 심연은 시대를 앞선 작품이었으며, 여러 가지 면에서 진정한 20세기형 최초의 소설이다. 문체는 19세기 후반의 사실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20세기 모더니즘의 전형적 특징을 보여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유럽 제국주의가 1800년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무차별적으로 자행한 횡포와 약탈을 비판한 최초의 문학 작품으로도 주목할 만하다. 어둠의 심연은 80쪽 밖에 되지 않는 짧은 소설로 그 회사라고만 소개되는 벨기에의 식민지 무역회사에 취직한 주인공 말로가 회상하는 형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말로는 벨기에 식민지 콩고로 파견되어 콩고 강 상류의오지에 위치한 출장사무소까지 가는 증기선의 선장이 된다. 출장사.. 2022. 11. 4.
존 밀턴이 1667년 발표한 '실락원' 존 밀턴이 1667년 발표한 '실락원' 존 밀턴이 1667년 발표한 서사시 은 구약성경 창세기에 기술되어 있는 인간이 타락하는 이야기를 상세히 그린 대작이다. 영어로 쓰인 가장 정교한 서사시로 서양 문학사에 기념비적 작품일 뿐만 아니라 종교 개혁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실낙원은 무운 시(운의 구속이 없어 산문에 가까운 서술적인 시)이다. 셰익스피어도 여러 작품에서 무운시 형식을 사용했지만, 밀턴은 무운 시의 가능성을 확대시키고 폭넓게 적용했다. 그뿐만 아니라 밀턴은 호메로스와 다른 고대 시인들이 서사시에 자주 사용했던 길고 복잡한 비유 양식인 서사시적 비유를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실낙원의 문이 열리자 사탄과 타락한 천사들이 신에 대항해 천국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전쟁에서 패한다. 신은 그 벌로 이들을 .. 2022. 11. 2.
음악의 기본 요소(음높이, 음계, 조) 음악의 기본 요소(음높이, 음계, 조) 음악 소리를 분석할 때 사용하는 기본 요소는 다음과 같다. 음높이(pitch) : 귀에 들리는 소리의 높낮이 정도를 말한다. 음높이는 실제로 음파의 주파수, 즉 파동이 반복되는 빈도로 측정한다. 서양음악에서는 도, 도샵, 또는 레플랫, 레, 레샵 또는 미플랫, 미, 파, 파샵 도는 솔플랫, 솔, 솔샵 또는 라플랫, 라, 라샵 또는 시플랫, 시 이렇게 12개의 고유 음높이가 있다 음계(scale) : 도-레-미-파-솔-라-시-도 처럼 음높이 차례로 음을 배열한 층계를 음계라 하며 대개 멜로디의 기본을 이룬다. 악곡의 전체 또는 일부는 특정 음계의 음을 사용하기도 한다 조(key) : 대개 장음계나 단음계 중 하나를 바탕으로 한 음배열 또는 음체계로서, 멜로디를 만드는.. 2022. 10. 30.
반응형